사부분류와 규장각 자료 형성 과정을 기준으로 나누어진
청구기호별로 자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원서명 | 高麗史 |
---|---|
현대어서명 | 고려사 |
청구기호 | 奎3467의2 |
편저자(한자) | 鄭麟趾(朝鮮) 等撰 |
편저자(한글) | 정인지(조선) 등찬 |
판본사항 | 乙亥字 |
간행지 | [刊地未詳] |
간행자 | [刊者未詳] |
간행연도 | [刊年未詳] |
책권수 | 零本5冊 |
광곽 | 四周單邊, 半葉匡郭:21.6×14.5cm, 9行 17字 注雙行 |
판심 | 上下黑魚尾 |
책크기 | 30.8×18.4cm |
표지,판심,권두서명 | 表紙書名:麗史 |
서,발,권수,권말 | 卷首:進高麗史箋:景泰二年(1451)八月二十五日…鄭麟趾等, 高麗世系, 目錄 |
자료소개 | 1451年(文宗 1) 鄭麟趾(1396-1478), 鄭昌孫(1402-1487) 등이 완성한 紀傳體의 高麗의 正史 |
소장본 | <奎 3467의 2>는 5冊外缺, 第9冊(1冊)이 木板本. <奎 3467의 4>은 1冊外缺. <奎 5553>은 第8·26·29冊(合3冊)이 補寫本. <奎 5554>은 32冊外缺. <奎 5874의 2>는 1冊外缺 |
사부분류 | 史部 正史類 |
M/F번호 | M/F82-16-206-1, M/F82-166-206-2 |
卷1-46:世家(太祖-恭讓王), 卷47-85:志:卷47-49:天文志, 卷50-52:曆志, 卷53-55:五行志, 卷56-58:地理志, 卷59-69:禮志, 卷70-71:樂志, 卷72:輿服志, 卷73-75:選擧志, 卷76-77:百官志, 卷78-80:食貨志, 卷81-83:兵志, 卷84-85:刑法志, 卷86-87:表(年表), 卷88-137:列傳:卷88-89:后妃傳, 卷90-91:宗室傳, 卷92-120:一般列傳, 卷121:良吏, 孝友, 烈女傳, 卷122:方技, 宦者, 酷吏傳, 卷123-125:嬖幸傳, 卷125-126:姦臣傳, 卷127-137:叛逆傳(卷133-136:禑王, 卷137:昌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