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古地圖
규장각 소장 220여종 6,000매에 달하는 고지도를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여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지도

左海分圖 좌해분도

  • 편저자 : [作者未詳]
  • 청구기호 : 古4709-99
  • 간행연도 : [刊年未詳]
  • 책권수 : 帖裝 1帖, 彩色圖
  • 판본사항 : 筆寫本

이용 가능한 디지털 자료

원문 이미지 개별 지도 해제

열람복제 신청

방문 열람 자료 복제

+글자크게 -글자작게 인쇄인쇄 저장저장 오류신고오류신고 URL복사URL복사 서지다운로드서지다운로드

원문 텍스트가 구축된 경우 목차를 선택하면 원문 텍스트를 열람할수 있으며 재선택시 보고 있는 원문정보가 닫힙니다.
책별 목록

목차정보 모두열기 모두닫기

  • 강원도 주기
    이미지

    左海分圖 강원도 주기입니다

  • 강원도(78.2×60.0cm)
    이미지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의 강원도 지도로서 정상기의 발문처럼 군현이 5방색 중에 동쪽을 의미하는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그러나 읍성이 있으면 성곽 모양을 그려 넣는다는 발문의 내용을 따르지 않고 읍성이 있는 영동지방의 모든 군현을 일반 군현과 동일하게 표현하였다. 또한 종6품의 찰방이 파견되어 많은 속역을 관장하던 찰방역인 金化의 生昌(道), 양양의 祥雲道, 삼척의 平陵道 등의 표시가 일률적이지 않다. 원본 계통의 지도와 가장 헷갈리게 표현한 것은 하천이다. 본류 부분을 쌍선으로 그린 다음 지류 부분들은 일괄적으로 실선으로 표현했는데, 지류와 본류가 연결되지 않거나 선의 굵기가 일정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아래쪽 ‘流入堤川’이란 문구가 있는 곳은 杻峙에서 흘러온 물이 남쪽의 충청도 제천으로 흘러들어간다는 의미인데, 본 지도의 표현만으로는 이해하기 어렵다. 본 지도가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임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부분은 三陟에서 平海에 이르는 해안선으로 현대 지도에 가장 가깝게 그렸다. 후대의 수정본 계통에서는 이 부분이 바다쪽으로 훨씬 튀어나가게 그려져 있으니 본 사이트의 다른 지도와 비교하면서 검토하면 좋다. 김정호의 《동여도》와 《대동여지도》에 와서 이 부분의 해안선이 본 지도처럼 다시 교정된다.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의 강원도 지도에는 없던 주기가 특별히 첨가되어 있다. 수도인 한양으로부터 각 군현까지의 거리와 古號 및 및 대표적인 山·川이 가장 앞쪽에 나오고, 종6품의 찰방이 파견되어 많은 屬驛을 관장하던 찰방역이 四郵로 정리되어 있다. 이어 군사기지인 鎭堡가 있는 군현 4개가 나오는데, 高城과 蔚珍의 것은 조선중기에 이미 혁파되어 조선후기의 지도나 지리지에는 기록되지 않던 것이다. 1531년에 목판으로 인쇄되어 전국의 군현에 배포된 『동국여지승람』에는 혁파된 2개의 진보가 기록되어 있는데, 필사자가 이후 혁파된 사실을 알지 못하고 앞의 기록을 참조하여 정리한 것으로 판다된다. 마지막으로 원주에서 금강산까지의 여정과 금강산 안의 고찰까지의 거리를 기록한 金剛山路程記가 아주 자세하게 기록되어 있어 본 지도책이 관보다는 민간에서 필사·제작되어 이용되었음을 더욱 분명하게 판단할 수 있게 해준다. (이기봉)

  • 뒷면
    이미지

    左海分圖 뒷면입니다

  • 표지
    이미지

    左海分圖 표지입니다

  • 황해도 주기
    이미지

    左海分圖 황해도 주기입니다

  • 황해도(76.3×60.0cm)
    이미지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의 황해도 지도로서 군현이 노란색의 큰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정상기의 발문에는 황해도가 수도인 한양의 서쪽에 있어 純白으로 표시한다고 했던 것과 다르다. 또한 정상기의 발문에는 성곽이 있는 군현의 경우 성곽 모양을 표시한다고 되어 있지만 본 지도에는 모든 군현이 동일하게 처리되어 있다. 군사기지인 진보의 표시가 주로 붉은색 작은 원으로 되어 있지만 백령도에 설치된 백령진에는 흰색으로 되어 있는 등 일관성이 떨어진다. 이런 측면들을 통해 볼 때 지명의 위치나 전반적인 흐름은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을 그대로 따르고 있지만 부호의 사용 등에서는 필사자의 인위적인 선택에 따라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종6품의 찰방이 파견된 찰방역 역시 진보와 동일하게 표시했지만 ‘○○道’로 표시하여 구분할 수 있게 해주었다. 황해도의 감영은 海州에, 병영은 黃州에, 수영은 瓮津에 설치되었는데, 본 지도의 내용만으로는 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옹진 서쪽의 所江은 원래 鎭이었는데, 1719년(숙종 45)에 수영을 설치하면서 옹진도호부사가 겸하게 했다. 소강에 行營이라 적혀 있는 것은 옹진도호부사가 1년에 6개월을 이곳에 주둔하게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정상기의 《동국지도》원본 계통의 황해도 지도에는 없던 주기가 특별히 첨가되어 있다. 수도인 한양으로부터 각 군현까지의 거리와 古號 및 대표적인 山·川이 가장 앞쪽에 나오고, 종6품의 찰방이 파견되어 많은 屬驛을 관장하던 찰방역이 四郵로 정리되어 있다. 이어 군사기지인 鎭堡의 명칭이 각각 5개와 4개 적혀 있지만 조선후기의 상황과는 다른 내용이다. 所江이 1719년(숙종 45)에 수영으로 승격되는 등 많이 다르니 본 사이트의 다른 지도와 비교해 보면서 살펴보면 좋다. (이기봉)

M/F PDF 보기 - 책차를 선택하세요.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