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古地圖
규장각 소장 220여종 6,000매에 달하는 고지도를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여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지도

朝鮮地圖 조선지도

  • 편저자 : [作者未詳]
  • 청구기호 : 古4709-32
  • 간행연도 : [孝宗9年-肅宗38年(1658-1712)]
  • 책권수 : 帖裝 1帖(14折), 彩色圖
  • 판본사항 : 木板本

이용 가능한 디지털 자료

원문 이미지 개별 지도 해제

열람복제 신청

방문 열람 자료 복제

마침표.자동줄바꿈

조선 후기에 유행했던 천하도, 중국·일본·유구국의 지도와 우리나라 지도가 결합된 지도책으로, 본 지도책은 총 13장의 지도가 ‘(圖形)東國八道大總圖-京畿道-忠淸道-全羅道-慶尙道-江原道-咸鏡道-黃海道-平安道-天下圖-中國圖-琉球國-日本國’의 순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 지도책은 기본적으로 奎章閣 소장 ≪地圖 (가람古 912.5-J561)≫의 내용과 형식이 서로 비슷하다. 그러나 부분적인 표현 방식이나, 註記의 첨가 등 또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 지도책의 제작 시기를 추정해 보면, 우선 <東國八道大總圖>의 주기에는 1760년(영조 36)에 慶熙宮으로 바뀌는 慶德宮이 ‘景德宮’으로 잘못 표기되어 있기는 하지만 바뀌기 전의 지명으로 적혀 있다. 1776년(정조 원년)에 충청도 尼山은 尼城으로 바뀌는데 지도상에서는 바뀌기 이전에 지명이 반영되어 있다. 그리고 <全羅道> 지도에는 1600년(선조 33)에 長城에 합해지는 珍原이 표시되어 있다. 그러나 <東國八道大總圖>에는 진원이 장성에 합해진 후의 전라도 군현수인 56官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地圖≫에서는 57官으로 표시되어 있다. <慶尙道> 지도에는 17세기에 신설된 漆谷(1630)·慈仁(1637)·英陽(1676)과 복설된 順興(1683)이 모두 표시되어 있으며, <東國八道大總圖>에서도 이 군현이 모두 포함된 71官이 표시되어 있다. ≪地圖≫의 <東國八道大總圖>의 경우에는 이 4개의 군현이 모두 제외된 67官으로 표시되어 있지만, <慶尙道> 지도에는 칠곡과 자인이 표시되어 있다. <黃海道> 지도에는 1719년(숙종 45)에 설치된 水營이 표시되어 있으며, <東國八道大總圖>의 황해도에는 牛峯과 江陰이 합해져 1651년(효종 2)에 생긴 金川이 반영되어 총 官數가 22官으로 표시되어 있다. ≪地圖≫의 경우 도별도인 <黃海道> 지도에는 금천이 표시되어 있지만, 전도인 <東國八道大總圖>에는 이를 반영하지 않은 23官으로 표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咸鏡道> 지도에는 비록 그 위치가 잘못되었지만 1684년(숙종 10)애 신설된 茂山이 표시되어 있으며, 1787년(정조 11)에 신설된 長津은 표시되어 있지 않다. 지도상에 반영된 이러한 지명을 바탕으로 본 지도책에는 1719년까지의 지명 변화가 반영되어 있으며, 1760년 이후에 변화된 모습은 반영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지명의 변천을 바탕으로 본 이 지도책의 제작 시기는 1719년에서 1760년 사이로 추정된다. 본 지도책의 표현양식 河系을 중심으로 그린 ≪地圖≫와 비슷하며, 지도상에 표시된 정보에 있어서도 많은 유사점을 보인다. 그러나 부분적으로 몇 가지 차이점을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표현 방법에 있어, 두 지도 모두 京都와 郡縣을 원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본 지도에서는 京都와 각 도의 監營과 統營·水營·水營·兵營에는 원 둘레에 성곽 표시를 더하고 있다. 그리고 각 郡縣名에는 ≪地圖≫와 같이 각 군현의 품계와 서울까지의 일정을 병기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地圖≫에는 없었던 각 군현의 古號나 別號가 1개씩 모두 적혀 있다. 이는 17세기 이후 민간에서의 지리지 제작이 활발해지면서 각 군현의 역사가 오래되었음 강조하려는 사회적 욕구가 지도상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지도 여백에 기록된 註記 부분이다. ≪地圖≫에 비해 본 지도에서는 주기가 풍부해졌다. 이것 또한 지도 제작자가 지도뿐만 아니라 지도와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 간단한지지 내용을 요구하던 당시의 이용자의 요구를 지도상에 반영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런 노력은 ≪地圖≫가 『新增東國輿地勝覽』의 附圖로서 제작된 ≪東覽圖≫에 비해 조선 전체에 대한 官數·驛數와 같은 간단한 통계적지지 내용만을 추가한 것과는 차별되는 것으로 상당한 변화의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양윤정)

M/F PDF 보기 - 책차를 선택하세요.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