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도古地圖
규장각 소장 220여종 6,000매에 달하는 고지도를
유형별, 지역별로 분류하여 한 눈에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지도

東域圖 동역도

  • 편저자 : [作者未詳]
  • 청구기호 : 古4709-27
  • 간행연도 : [19世紀 前半(純祖 年間:1800-1834)]
  • 책권수 : 1帖(8折), 彩色圖
  • 판본사항 : 筆寫本

이용 가능한 디지털 자료

원문 이미지 개별 지도 해제

열람복제 신청

방문 열람 자료 복제

마침표.자동줄바꿈

정상기의 《동국지도》수정본 계통을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라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 수정본 계통[본 사이트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좌해분도》(고951.1-p173)가 대표적) 둘째, 1770년(영조 46) 신경준이 주도가 되어 만든 수정본 계통 셋째, 정후조(1758-1793)의 〈海州新本〉 계통 넷째, 본 지도 계통 4개로 나누어지고 있다. 네 계통은 산줄기나 물줄기 및 해안선 그리고 수록된 정보의 종류와 양이라는 차원에서 유사점이 많아 상호 관련성을 설정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점도 많아 독자적인 하나의 계통으로 구분된다. 초보자가 원본 계통과 네 개의 수정본 계통의 지도를 쉽게 구별할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 지역은 평안도 가장 북쪽의 압록강 유로다. 계통마다 압록강의 유로가 확연히 다르니 서로 비교해 보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본 지도 계통으로 알려진 또 다른 지도는 규장각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된 〈八路總圖〉 (古枚915.51-p186)인데, 본 지도첩이 도별로 나누어져 그려진 반면 〈팔로총도〉 는 247.0×151.2cm에 이르는 대형 전도다. 1800년(정조 24)에 충청도의 尼城이 魯城으로, 함경도의 利城이 利原으로 개명되는데 본 지도첩에는 모두 개명 이후의 지명으로 기록되어 있어 1800년 이후에 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계통의 지도가 1800년 이후에 처음으로 제작되었던 것은 아니다. 〈팔로총도〉에는 1767년(영조 43)에 산청과 안의로 바뀌는 경상도의 산음과 안음이 개명 이전의 명칭으로 적혀 있고, 그 이후의 지명 변화는 전혀 반영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지도 계통의 초기본은 1767년에서 가까운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본 지도첩은 후대의 필사본으로 볼 수 있다. 본 지도첩은 원본 그대로는 아니며, 후대에 도의 경계선을 따라 오린 후 다시 배접한 것이다. 전도를 도별로 오려서 붙인듯한 인상도 드나 도별 지도의 경계 부분을 비교해 보면 원래부터 전도가 아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기봉)

M/F PDF 보기 - 책차를 선택하세요.
팝업닫기